반응형 암흑물질1 암흑물질의 존재를 예견하다 1930년대 초반에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천문학과 교수였던 프리츠 즈윅키는 코마성단(지구로부터 약 37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의 집단)의 외부를 이루고 있는 수천 개의 은하들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현장을 목격했습니다. 이들은 눈에 보이는 질량보다 훨씬 큰 중력이 작용하는 것처럼 한데 뭉쳐서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즈윅키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빛을 발하지 않는 어떤 물질이 코마성단에 퍼져 있어서 성단 전체를 강한 중력으로 묶어 놓고 있다는 가설을 제기했습니다. 암흑물질은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로, 빛을 내지 않는 특성 때문에 관측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중력을 통해 은하들을 묶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우주의 구조와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암흑물질의 정체는 아직까지 미스.. 2024. 8. 7. 이전 1 다음 반응형